본문 바로가기
육아 & 부모고민

생후 6개월~3세까지! 연령별 언어 발달 단계 가이드

by nothing better0721 2025. 3. 4.

아기의 첫 옹알이를 들었을 때의 기쁨, 기억나시나요? 😊
아기들은 태어나면서부터 언어를 배워요. 처음에는 소리를 내고, 점점 단어를 말하며, 결국 문장을 만들어 대화를 하게 됩니다. 하지만 언어 발달 속도는 아이마다 다를 수 있어요.

오늘은 생후 6개월부터 3세까지, 연령별 언어 발달 단계를 알아보고, 부모가 할 수 있는 효과적인 언어 자극 방법까지 함께 살펴볼게요!

아기 옹알이하는 모습과 엄마 사진


1. 생후 6개월~3세 연령별 언어 발달 단계

아기의 언어 발달은 단계별로 진행되며, 보통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입니다.

🔹 6~12개월 (옹알이 & 첫 단어 준비 단계)

✅ 옹알이를 시작하며 다양한 소리를 낸다.
✅ 주변 소리에 반응하고 엄마, 아빠 목소리를 구별한다.
✅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웃거나 소리를 낸다.
✅ "엄마", "빠빠" 같은 단어를 이해하지만 말로 표현하지는 않는다.

📌 부모가 할 수 있는 도움
✔️ 아기가 내는 소리에 반응하며 대화하듯 말해주세요.
✔️ "까꿍 놀이"나 손짓 놀이를 통해 아이와 상호작용을 늘려주세요.
✔️ 다양한 소리를 들려주며 반응을 유도하세요.


🔹 12~18개월 (첫 단어 단계)

✅ "엄마", "아빠" 같은 단어를 말하기 시작한다.
✅ 5~20개 정도의 단어를 사용할 수 있다.
✅ 손짓(가리키기, 박수 치기)과 함께 말을 하려는 시도를 한다.
✅ 부모가 하는 말을 이해하고 간단한 지시(“공 가져와”)를 따른다.

📌 부모가 할 수 있는 도움
✔️ 아이가 말하는 단어를 확장해주세요. ("멍멍!" → "맞아, 강아지가 멍멍 짖고 있어!")
✔️ 주변 사물의 이름을 반복적으로 알려주세요. ("이건 공이야.")
✔️ 그림책을 보며 "이건 무슨 동물일까?" 같은 질문을 던져주세요.


🔹 18~24개월 (단어 폭발기 & 간단한 문장 말하기)

✅ 단어 수가 50개 이상으로 증가한다.
✅ "엄마, 물 줘" 같은 2~3단어로 된 짧은 문장을 말한다.
✅ 질문을 듣고 간단하게 대답할 수 있다.
✅ 노래를 따라 하거나 반복적인 구절을 말할 수 있다.

📌 부모가 할 수 있는 도움
✔️ 아이가 말하면 기다려 주고 반응을 보여주세요.
✔️ 새로운 단어를 자연스럽게 대화 속에 포함하세요.
✔️ 아이가 관심 있는 주제를 활용해 이야기를 나눠보세요.


🔹 24~36개월 (문장 형성 & 대화 시작 단계)

✅ 200~500개 이상의 단어를 사용한다.
✅ 3~5단어로 문장을 만들어 대화할 수 있다.
✅ "왜?", "어디?" 같은 질문을 많이 한다.
✅ 감정을 말로 표현하기 시작한다.

📌 부모가 할 수 있는 도움
✔️ 아이의 말을 존중하며 대화를 이어가세요.
✔️ 다양한 질문을 던지고 대답을 유도하세요.
✔️ 상상력을 키우는 놀이(역할극, 인형놀이 등)를 활용하세요.


2. 우리 아이, 말이 늦는 걸까? (언어 발달 지연 신호 체크)

아이마다 발달 속도가 다를 수 있지만, 다음 신호가 보이면 전문가 상담을 고려해 보세요.

⚠️ 12개월 이후에도 옹알이가 거의 없다.
⚠️ 18개월 이후에도 단어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 2세 이후에도 짧은 문장을 만들지 못한다.
⚠️ 부모의 말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반응이 느리다.
⚠️ 또래보다 몸짓(손짓, 끄덕이기)으로만 의사소통하려 한다.

언어 발달이 늦어 보이더라도, 부모의 적극적인 도움으로 개선될 수 있는 경우가 많아요. 하지만 특정 신호가 지속된다면 소아과나 언어치료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에요.


3. 언어 발달을 돕는 부모의 역할

아이의 언어 발달을 촉진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부모와의 상호작용입니다.

말을 많이 걸어주세요.
"우와~ 하늘이 파랗네!", "이건 사과야. 사과는 빨간색이지!"
이렇게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대화를 늘려보세요.

질문을 던지고 대답을 유도하세요.
"이거 무슨 색일까?", "강아지가 어떻게 짖지?" 같은 질문을 하면 아이가 말하는 연습을 할 수 있어요.

아이가 말하면 확장된 문장으로 반응해주세요.
아이가 "사과!"라고 하면, "맞아, 빨간 사과야! 사과는 맛있어~" 이렇게 문장을 확장해 주세요.

책을 많이 읽어주세요.
그림책을 보면서 아이가 그림을 가리키면 "이건 자동차야. 자동차는 어디로 갈까?" 같은 질문을 던져보세요.

스크린 타임을 줄이세요.
TV나 유튜브를 보는 시간이 많아지면, 아이가 듣기만 하고 말하는 연습을 덜 하게 돼요. 직접 상호작용하는 시간을 늘려보세요.


4. 결론

아기마다 언어 발달 속도는 다르지만, 일반적인 기준을 참고하면 부모가 더 안심할 수 있어요.

📌 언어 발달이 조금 느리더라도, 환경을 잘 조성하면 자연스럽게 따라잡을 수 있습니다.
📌 그러나 특정 신호가 지속된다면 전문가 상담을 고려해 보세요.

부모가 아이에게 말을 많이 걸어주고, 함께 대화하는 시간이 많을수록 언어 발달이 촉진됩니다. 오늘부터 아이와 더 많은 대화를 나눠보는 건 어떨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