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의 첫 옹알이를 들었을 때의 기쁨, 기억나시나요? 😊
아기들은 태어나면서부터 언어를 배워요. 처음에는 소리를 내고, 점점 단어를 말하며, 결국 문장을 만들어 대화를 하게 됩니다. 하지만 언어 발달 속도는 아이마다 다를 수 있어요.
오늘은 생후 6개월부터 3세까지, 연령별 언어 발달 단계를 알아보고, 부모가 할 수 있는 효과적인 언어 자극 방법까지 함께 살펴볼게요!
1. 생후 6개월~3세 연령별 언어 발달 단계
아기의 언어 발달은 단계별로 진행되며, 보통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입니다.
🔹 6~12개월 (옹알이 & 첫 단어 준비 단계)
✅ 옹알이를 시작하며 다양한 소리를 낸다.
✅ 주변 소리에 반응하고 엄마, 아빠 목소리를 구별한다.
✅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웃거나 소리를 낸다.
✅ "엄마", "빠빠" 같은 단어를 이해하지만 말로 표현하지는 않는다.
📌 부모가 할 수 있는 도움
✔️ 아기가 내는 소리에 반응하며 대화하듯 말해주세요.
✔️ "까꿍 놀이"나 손짓 놀이를 통해 아이와 상호작용을 늘려주세요.
✔️ 다양한 소리를 들려주며 반응을 유도하세요.
🔹 12~18개월 (첫 단어 단계)
✅ "엄마", "아빠" 같은 단어를 말하기 시작한다.
✅ 5~20개 정도의 단어를 사용할 수 있다.
✅ 손짓(가리키기, 박수 치기)과 함께 말을 하려는 시도를 한다.
✅ 부모가 하는 말을 이해하고 간단한 지시(“공 가져와”)를 따른다.
📌 부모가 할 수 있는 도움
✔️ 아이가 말하는 단어를 확장해주세요. ("멍멍!" → "맞아, 강아지가 멍멍 짖고 있어!")
✔️ 주변 사물의 이름을 반복적으로 알려주세요. ("이건 공이야.")
✔️ 그림책을 보며 "이건 무슨 동물일까?" 같은 질문을 던져주세요.
🔹 18~24개월 (단어 폭발기 & 간단한 문장 말하기)
✅ 단어 수가 50개 이상으로 증가한다.
✅ "엄마, 물 줘" 같은 2~3단어로 된 짧은 문장을 말한다.
✅ 질문을 듣고 간단하게 대답할 수 있다.
✅ 노래를 따라 하거나 반복적인 구절을 말할 수 있다.
📌 부모가 할 수 있는 도움
✔️ 아이가 말하면 기다려 주고 반응을 보여주세요.
✔️ 새로운 단어를 자연스럽게 대화 속에 포함하세요.
✔️ 아이가 관심 있는 주제를 활용해 이야기를 나눠보세요.
🔹 24~36개월 (문장 형성 & 대화 시작 단계)
✅ 200~500개 이상의 단어를 사용한다.
✅ 3~5단어로 문장을 만들어 대화할 수 있다.
✅ "왜?", "어디?" 같은 질문을 많이 한다.
✅ 감정을 말로 표현하기 시작한다.
📌 부모가 할 수 있는 도움
✔️ 아이의 말을 존중하며 대화를 이어가세요.
✔️ 다양한 질문을 던지고 대답을 유도하세요.
✔️ 상상력을 키우는 놀이(역할극, 인형놀이 등)를 활용하세요.
2. 우리 아이, 말이 늦는 걸까? (언어 발달 지연 신호 체크)
아이마다 발달 속도가 다를 수 있지만, 다음 신호가 보이면 전문가 상담을 고려해 보세요.
⚠️ 12개월 이후에도 옹알이가 거의 없다.
⚠️ 18개월 이후에도 단어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 2세 이후에도 짧은 문장을 만들지 못한다.
⚠️ 부모의 말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반응이 느리다.
⚠️ 또래보다 몸짓(손짓, 끄덕이기)으로만 의사소통하려 한다.
언어 발달이 늦어 보이더라도, 부모의 적극적인 도움으로 개선될 수 있는 경우가 많아요. 하지만 특정 신호가 지속된다면 소아과나 언어치료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에요.
3. 언어 발달을 돕는 부모의 역할
아이의 언어 발달을 촉진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부모와의 상호작용입니다.
✅ 말을 많이 걸어주세요.
"우와~ 하늘이 파랗네!", "이건 사과야. 사과는 빨간색이지!"
이렇게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대화를 늘려보세요.
✅ 질문을 던지고 대답을 유도하세요.
"이거 무슨 색일까?", "강아지가 어떻게 짖지?" 같은 질문을 하면 아이가 말하는 연습을 할 수 있어요.
✅ 아이가 말하면 확장된 문장으로 반응해주세요.
아이가 "사과!"라고 하면, "맞아, 빨간 사과야! 사과는 맛있어~" 이렇게 문장을 확장해 주세요.
✅ 책을 많이 읽어주세요.
그림책을 보면서 아이가 그림을 가리키면 "이건 자동차야. 자동차는 어디로 갈까?" 같은 질문을 던져보세요.
✅ 스크린 타임을 줄이세요.
TV나 유튜브를 보는 시간이 많아지면, 아이가 듣기만 하고 말하는 연습을 덜 하게 돼요. 직접 상호작용하는 시간을 늘려보세요.
4. 결론
아기마다 언어 발달 속도는 다르지만, 일반적인 기준을 참고하면 부모가 더 안심할 수 있어요.
📌 언어 발달이 조금 느리더라도, 환경을 잘 조성하면 자연스럽게 따라잡을 수 있습니다.
📌 그러나 특정 신호가 지속된다면 전문가 상담을 고려해 보세요.
부모가 아이에게 말을 많이 걸어주고, 함께 대화하는 시간이 많을수록 언어 발달이 촉진됩니다. 오늘부터 아이와 더 많은 대화를 나눠보는 건 어떨까요? 😊
'육아 & 부모고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이 늦어 걱정된다면? 아이의 말문을 틔우는 현실적인 대화법 5가지 (3) | 2025.03.04 |
---|---|
부모가 아기 언어 발달을 돕는 7가지 효과적인 방법 (1) | 2025.03.04 |
우리 아이는 말이 느린 걸까? 언어 발달 지연 신호 (1) | 2025.03.04 |
아기 언어 발달 체크리스트: 정상 범위는 어디까지? (1) | 2025.03.04 |
아이 성장 늦는 것 같을 때, 부모가 할 수 있는 것 (1) | 2025.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