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 & 부모고민

우리 아이는 말이 느린 걸까? 언어 발달 지연 신호

by nothing better0721 2025. 3. 4.

"다른 아이들은 벌써 엄마, 아빠를 부르는데… 우리 아이는 왜 말을 안 할까?"
부모라면 한 번쯤 이런 고민을 해본 적 있을 거예요. 아이마다 발달 속도는 다를 수 있지만, 언어 발달이 늦어지는 신호를 미리 알고 있다면 보다 빠르게 대응할 수 있어요. 오늘은 언어 발달 지연의 신호와 부모가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게요.

행복한 엄마와 아이


1. 우리 아이, 말이 늦는 걸까? (언어 발달 지연 신호 체크리스트)

아기의 언어 발달이 정상 범위인지 확인하려면, 연령별로 다음과 같은 기준을 참고해보세요.

🔹 12개월 (1세)

✅ 옹알이를 자주 하고 다양한 소리를 낸다.
✅ 부모의 목소리에 반응하고 눈을 맞춘다.
✅ "안녕~" 같은 간단한 말을 들으면 반응한다.

⚠️ 주의 신호:
❌ 12개월이 지나도 옹알이가 거의 없다.
❌ 주변 소리에 반응하지 않는다.

🔹 18개월 (1년 6개월)

✅ 10~20개 정도의 단어를 사용한다.
✅ 부모가 하는 말을 이해하고 간단한 지시(“공 가져와”)를 따른다.
✅ 주변 사물을 가리키면서 이름을 말하려 한다.

⚠️ 주의 신호:
❌ 18개월이 지났는데도 단어를 거의 말하지 않는다.
❌ "엄마", "아빠" 외에 다른 단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 부모의 말을 이해하는 것 같지 않다.

🔹 24개월 (2세)

✅ 50개 이상의 단어를 알고 있다.
✅ "엄마 물 줘" 같은 2~3단어로 된 문장을 말한다.
✅ "이게 뭐야?", "어디 있어?" 같은 질문을 한다.

⚠️ 주의 신호:
❌ 2세가 되어도 단어를 20개 이하로 사용한다.
❌ 짧은 문장을 만들지 못한다.
❌ 몸짓(손짓, 끄덕이기)으로만 의사소통하려 한다.

🔹 36개월 (3세)

✅ 500개 이상의 단어를 사용한다.
✅ 간단한 문장을 만들어 대화가 가능하다.
✅ "왜?", "어떻게?" 같은 질문을 자주 한다.

⚠️ 주의 신호:
❌ 3세가 되어도 2단어 이상의 문장을 사용하지 않는다.
❌ 또래 아이들과 비교해 언어가 현저히 느리다.
❌ 부모가 하는 말을 거의 이해하지 못한다.


2. 언어 발달이 늦어지는 주요 원인

아이의 언어 발달이 느린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어요.

📌 1) 가족력

부모 중 한 명이 어릴 때 말을 늦게 시작했다면, 아이도 비슷한 경향을 보일 수 있어요. 하지만 대부분 시간이 지나면 정상적으로 따라잡습니다.

📌 2) 환경적 요인

아이와의 대화 시간이 부족하거나, 가족들이 말을 많이 걸어주지 않는 경우에도 언어 발달이 늦어질 수 있어요.

📌 3) 과도한 스크린 노출

TV, 유튜브, 스마트폰을 너무 많이 보면 아이가 수동적으로 듣기만 하고, 직접 말하는 연습이 부족해질 수 있어요.

📌 4) 청각 문제

귀에 문제가 있으면 소리를 제대로 듣지 못해 언어 발달이 늦어질 수 있어요. 감기 후에 귀에 물이 차는 ‘삼출성 중이염’이 있는 경우도 언어 발달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 5) 사회성 발달 문제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등 사회성 발달과 관련된 문제가 있을 경우, 언어 발달 지연이 함께 나타날 수 있어요.


3. 부모가 아이의 언어 발달을 돕는 방법

아기의 언어 발달을 촉진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부모와의 직접적인 대화입니다.

1) 말을 많이 걸어주세요!

아이에게 계속 말을 걸어주세요. 예를 들어:
"와~ 하늘이 파랗네!", "이거 토끼야. 토끼는 깡충깡충 뛰어!"
이렇게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대화를 늘려보세요.

2) 질문을 던지고 대화를 유도하세요!

"이거 무슨 색일까?", "강아지가 어떻게 짖지?" 같은 질문을 하면 아이가 대답하는 연습을 할 수 있어요.

3) 아이가 말하면 확장된 문장으로 반응해주세요!

아이가 "사과!"라고 하면, "맞아, 빨간 사과야! 사과는 맛있어~" 이렇게 문장을 확장해 주세요.

4) 책을 많이 읽어주세요!

그림책을 보면서 아이가 그림을 가리키면 "이건 자동차야. 자동차는 어디로 갈까?" 같은 질문을 던져보세요.

5) 스크린 타임을 줄이세요!

TV나 유튜브를 보는 시간이 많아지면, 아이가 듣기만 하고 말하는 연습을 덜 하게 돼요. 직접 상호작용하는 시간을 늘려보세요.


4. 전문가 상담이 필요한 경우

언어 발달이 조금 늦더라도 대부분의 아이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따라잡아요. 하지만 아래의 경우라면 전문가 상담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 2세 이후에도 단어를 20개 이하로 사용한다.
🔴 3세 이후에도 간단한 문장을 만들지 못한다.
🔴 발음을 지나치게 부정확하게 한다.
🔴 부모의 말을 거의 이해하지 못한다.
🔴 다른 발달 영역(운동, 사회성 등)에서도 지연이 보인다.

소아과나 언어치료 전문가와 상담하면 보다 정확한 평가를 받을 수 있어요.


5. 결론

아기마다 언어 발달 속도는 다를 수 있어요. 하지만 부모가 아이의 언어 발달을 적극적으로 돕는다면 더욱 원활한 성장을 도울 수 있습니다.

📌 언어 발달이 조금 느리더라도, 환경을 잘 조성하면 자연스럽게 따라잡을 수 있습니다.
📌 그러나 특정 신호가 지속된다면 전문가 상담을 고려해 보세요.

부모가 해줄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아이에게 말을 많이 걸어주고, 함께 대화하는 시간을 늘리는 것! 우리 아이가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함께 도와줘요! 😊